ADVERTISEMENT
오피니언 양선희의 시시각각

왜 ‘친국민 정치인’은 없을까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2면

양선희
양선희 기자 중앙일보
양선희
논설위원

‘손가락을 잘라 버리고 싶다.’ 선거가 끝나면 유권자들 사이에선 이런 한탄이 나오곤 합니다. ‘최선은 아니어도 차악을 고르자’는 게 유권자들의 선거 목표가 된 지는 꽤 됐죠. 한데 선거가 끝나면 헷갈리기 시작합니다. 어쩌면 최악을 골랐는지 모른다는 의구심이 생기면서 ‘잘린 손가락들이 한강을 메웠다’는 자조적 유머가 나옵니다.

 이번 이완구 국무총리 인준 과정을 보며 유권자로서 내 손가락이 저지른 만행에 대해 많은 생각을 했습니다. 병역기피·부동산투기 의혹이나 위험한 언론관 같은 얘긴 귀 아프게 들었으니 그만두죠. 삼청교육대 참여로 훈장도 받고, 그 후에도 현란하게 당적을 바꾸며 언제나 승자편에 선 이악스러움도 일단 그의 실력이라고 치죠. 공자(孔子)가 사람을 가르는 기준으로 보면, 이는 전형적인 소인배의 실력이니 우리가 꿈꾸는 ‘군자(君子)의 정치’는 물 건너갔다는 허탈함이 문제라면 문제겠지요.

 한데 더 큰 문제가 있습니다. 그를 뽑은 것은 우리 유권자들이었습니다. 그런 이를 ‘가장 존경하고 닮고 싶다’는 국회의원도 우리가 뽑았죠. 또 더 큰 문제는 우리가 뽑고 세금 내서 먹여 살리는 국회의원들이 여야를 막론하고 온통 친박·비박, 친노·비노로 갈려 옛 사색당파 싸움도 울고 갈 계파정치에만 몰두하고 있다는 사실입니다. ‘친국민’ 국회의원, 국민에게 무엇이 최선인지를 진정으로 고민하는 국회의원은 본 기억이 없습니다.

 계파정치는 우리에게 ‘추한 현실’을 던져줬습니다. 새누리당은 총리인준 표결에 앞서 표단속을 했습니다. 비박 집행부가 총리 인준에 실패하면 정치적 부담을 지게 될까 봐 그랬다는 해석이 나오는군요. 이번 총리 인준을 보면 앞서 안대희·문창극 총리 후보가 왜 낙마했는지 이해가 안 됩니다. 총리 기준을 확 낮춰 앞으로 총리는 아무나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의 리더십은 생뚱맞아서 부끄러웠습니다. 집권세력을 견제·감시한다는 야당이 어떻게 그리 적나라하게 저열한 수준을 드러내는지. ‘자진사퇴’ ‘여론조사’ 등 되는대로 막 던지더군요. 여론조사 뜻은 접었지만, 법으로 국회의원들이 청문회를 통해 인준하라고 했는데, 공을 여론조사에 돌린다면 국회는 뭘 하겠다는 겁니까. 여론조사 만능 정치는 위험합니다. 여론은 시시각각 변하고, 변수 하나만 틀어도 여론의 향방은 달라집니다. 여론이 곧 사회의 옳은 발전방향을 제시하는 건 아닙니다. 그러므로 여론조사는 지표로 활용해야지 결정요소로 삼으면 안 된다는 건 상식입니다.

 곰곰이 생각해봤습니다. 왜 툭하면 여론조사인가. ‘민심을 따르는 정치인 코스프레’는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더군요. 오늘부터 설 연휴입니다. 설 민심을 듣겠다며 ‘민심 정치인 코스프레’가 횡행하는 시즌입니다. 정치인마다 세배투어를 하고, 시장을 찾아 상인의 손을 잡고 귓등으로 고충을 듣곤 민심을 알았다고 큰소리 칠 겁니다. 그러나 여느 때와 마찬가지로 설 민심으로 정치가 바뀌진 않을 겁니다.

 이제 유권자들도 ‘민심’으로만 존재해선 이 부패한 패거리 정치를 바꾸지 못할 것 같습니다. 민심이란 단지 방향성만 있고, 권력에 선처를 호소하는 식의 수직적 관계를 상정합니다. 원래 유권자와 정치인은 수직적 관계가 아닌 수평적 관계입니다. 유권자들은 단지 욕하고, 한탄하고, 하소연하는 ‘어린 백성’으로 남아선 안 됩니다. 자발적 시민성을 기반으로 이웃과 공동체를 살리고, 패거리 정치의 책임을 물을 수 있는 ‘성찰하고 헌신하는 시민’이 되어야겠지요.

 당파싸움에 몰두하던 조선왕조는 망했습니다. 시민정신이 없던 시대였죠. 그 뼈아픈 역사를 반복하지 않기 위해서라도 우리 스스로 계파정치에 지고 새는 정치를 감시·견제하지 않을 수 없는 시점에 와 있는 것 같습니다. 설 연휴, 나라를 살릴 시민정신이 무엇인지 고민하고 토론하는 시간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십시오.

양선희 논설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