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오피니언 사설

한전의 에너지밸리 혁신도시 실험을 주목한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6면

혁신도시 이전이 급물살을 타고 있다. 혁신도시 중심으로 인구가 눈에 띄게 증가하고 있으며, 직원들이 입주할 아파트촌이 속속 들어서고 있다. 갖은 우려에도 불구하고 혁신도시는 더 이상 되돌릴 수 없는 다리를 건넜다. 그렇다면 이제 혁신도시가 제대로 자리 잡고, 당초 기대했던 파급효과를 어떻게 충분히 끌어낼지가 중요하다. 우리가 나주 혁신도시를 세계적 에너지밸리로 만들겠다는 한국전력의 실험을 주목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한전이 옮겨간 도시 이름 자체가 ‘빛가람’이다. 한전은 광주·전남 대학들과 손잡고 에너지 전문 인재 육성에 619억원을 투입하고, 주변 지역과의 상생 협력에 589억원을 쏟아붓기로 했다. 66억원을 들여 전력·에너지 분야의 강소기업들도 유치한다. 빛가람 산·학·연 클러스터를 세계적인 에너지밸리로 바꿔놓겠다는 게 한전의 청사진이다. 단순한 지역 균형 개발을 넘어 새로운 미래형 도시 모델을 구축할지 눈여겨볼 가치가 있는 실험이다.

 2007년부터 전국 10개 지역에서 진행된 혁신도시는 지난해 말로 공공기관들이 옮겨가는 1단계 사업이 마무리됐다. 그동안 혁신도시 주변에 부동산 투기가 만연하고, 울며 겨자 먹기로 내려간 공공기관 직원들이 두 집 살림을 하는 등 부작용도 적지 않았다. 일부 지역에선 혁신도시를 볼모 삼아 “지역 인재만 뽑으라”고 공공기관을 압박하는 등 지역 이기주의가 기승을 부리기도 했다.

 하지만 올해부터 5년간 혁신도시의 운명을 좌우할 중요한 사업이 진행된다. 민간기업·대학·연구소들이 새롭게 둥지를 트는 산·학·연 정착의 2단계 사업이 그것이다. 혁신도시는 공공기관만으로 지속 가능할 수 없다. 공공기관과 연관된 민간기업들이 뒤따라 옮겨오고, 현지에서 전문 인력들이 안정적으로 배출돼야 한다. 혁신도시가 성공하려면 일본의 도요타시처럼 특화된 분야에서 인구 2만~5만 명의 세계적 강소도시로 우뚝 서야 가능한 일이다. 그래서 우리는 한전이 어떻게 나주를 세계 최고의 에너지밸리로 탈바꿈시키는지 꾸준히 관심을 갖고 지켜볼 작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