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의병들의 혼이 담긴 "의령망개떡 사이소~"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먹거리에 대한 관심이 갈수록 높아가고 있다. 중앙일보는 aT(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의 도움을 받아 전국에서 착한 생산자들의 특산물을 발굴해 연재한다. 특산물 하나 하나에 얽혀있는 역사적 기록과 사연들, 그리고 그걸 생산하는 사람들의 이야기다.

경남 의령군 부림면 신반리에 있는 ‘부림떡 전문점’ 구인서 대표(52세)가 망개떡을 만들게 된 계기는 부인의 병 치료였다. “아내가 갑상선 때문에 많이 아팠어요. 망개 열매가 좋다고 하길래 즙을 내 먹였지요. 열매가 신맛이 많이 나 먹기 힘들어 해서 망개떡 안에 열매즙을 넣어 먹이게 됐어요.”

경상남도 의령군은 의병의 고장이다. 임진왜란(1592년) 때 ‘홍의장군’ 곽재우의 지휘하에 수천 군민이 최초로 의병을 일으켰다. 당시 의병들은 망개잎에 밥을 싸 가지고 다니며 먹었다. 망개잎의 천연 방부제 성분 때문에 음식이 잘 쉬지 않기 때문이다. 곽 장군의 부인은 망개잎에 밥 대신 떡을 싸 의병들에게 전했다고 한다. 망개떡은 거기서 유래했다. 떡의 재료가 아니라 떡을 싼 나뭇잎에서 생겨난 명칭이다.

망개떡은 소바(메밀국수), 쇠고기국밥과 함께 의령군 3대 음식이다. ‘선유량’이란 별칭도 있다. 신선이 남겨 놓은 음식이란 뜻이다. 멥쌀을 반죽해 직사각형으로 자르고 그 안에 팥소를 얹어 보자기처럼 싼 뒤 망개잎으로 감싸면 망개떡이 완성된다.

망개떡에선 여러 가지 맛이 동시에 느껴진다. 멥쌀로 만든 피의 쫄깃하고 부드러운 맛, 팥소의 달콤하면서도 담백한 맛, 망개잎의 상큼하고 향긋한 맛이다. 찹쌀떡과 비슷한데 더 쫄깃하고 목에 넘어갈 때 더 부드럽다. 망개떡이 의령군 특산품이 될 수 있었던 건 군(郡)에 망개나무가 많아서다. 해발 897미터인 자굴산에는 망개나무 군락지가 사방에 널려있다. 경상도에선 명감나무, 전라도에선 종가시덩굴, 강원도에선 참열매덩굴, 황해도에선 매발톱가시라고도 부르는 그 나무다. 표준말은 ‘청미래덩굴’이다. 이 나무의 뿌리도 약이다. 뿌리 다린 물에선 시금털털한 맛이 나는데 3~7일 정도 마시면 수은 중독이 풀린다고 한다. 본초강목에는 성병 치료에 효과가 좋다고 돼 있다. 풍습성 관절염, 만성 피부염 치료에 좋고, 하루10g~30g을 달여 먹으면 간염, 간경화, 지방간 예방에 효과가 있다고 한다.

부인에게 바친 정성 ‘부림떡 전문점’

경남 의령군 부림면 신반리에 있는 ‘부림떡 전문점’ 구인서 대표(52세)가 망개떡을 만들게 된 계기는 부인의 병 치료였다. “아내가 갑상선 때문에 많이 아팠어요. 망개 열매가 좋다고 하길래 즙을 내 먹였지요. 열매가 신맛이 많이 나 먹기 힘들어 해서 망개떡 안에 열매즙을 넣어 먹이게 됐어요.”

신기하게도 구 대표 부인은 수술을 받지 않고도 치유가 됐다. 그런 경험 때문에 구 대표 부부는 망개떡 하나를 쌀 때마다 약을 만든다는 생각으로 정성을 다한다고 한다.

부림떡 전문점에서는 연간 약 170만개 정도의 망개떡을 직접 손으로 빚어낸다. 구 대표의 경우 한 시간에 약 600개의 망개떡을 빚는다. 6초에 한 개 꼴이다. 먼저 너비 약 5~6cm, 길이 약 1m쯤 되는, 길다란 띠 모양의 멥쌀 반죽을 똑같은 크기로 번개같이 토막을 낸다. 자루 안에 담아둔 팥소를 일정하게 짜 얹고 대각선 방향으로 말아준 뒤 아래 위를 망개잎으로 덮으면 한 개가 완성된다. 떡 반죽을 똑같은 크기로 잘라내는 것도 쉽지 않고, 팥소를 일정하게 짜내는 것도 어렵다. 그걸 최대한 빨리 해야 한다. 구 대표의 왼쪽 손등에는 혹 같은 것이 볼록하게 솟아 있다. “하도 손목을 많이 쓰니까 이런 게 생기네요. 나름의 직업병이죠. 하지만 망개떡은 사람 손으로 빚어야 제 맛이 나기 때문에 무조건 수작업을 고집하고 있습니다.” 구 대표의 말이다.

멥쌀 반죽을 일정하게 잘라주는 기계가 있긴 한데 이상하게 기계로 자르면 떡의 찰진 맛이 사라지더라는 것이다.

부림떡 전문점에서 쓰는 재료는 100% 국내산이다. 팥은 의령군에서, 천일염은 전남 신안군에서 사다 쓴다. 제일 중요한 망개잎은 잎이 가장 풍성한 6월 하순에서 7월까지 한 달간 1년간 쓸 양을 모은다. 직접 산에 가서 따거나 동네 할머니들이 부업 삼아 산에서 따온 망개잎을 사 모은다.

망개잎을 소금에 절였다가 필요할 때마다 꺼내서 씻어 쓴다.

“전국으로 망개떡을 배달하고 있지만 고객들의 불만을 받아본 적이 없습니다. 떡의 재료와 품질은 자신 있습니다. 아무리 특산품이라지만 별로 크지 않은 떡 가게인데 전문적인 홍보는 엄두도 못 내죠. 하지만 먹어 본 분들의 입 소문을 바탕으로 꾸준하게 팔리고 있어요. 주말이나 공휴일에는 의령 주변에 놀러 온 관광객들이 일부러 저희 동네를 찾아와 많이들 사가세요.” 구 대표의 말이다.

임진왜란 때 의병들이 싸가지고 다니며 먹었다는 사연을 되새겨보면 망개떡의 맛은 아무래도 색다를 수 밖에 없을 것이다.부림떡전문점 구인서

위 상품에 대한 구매 정보는 농부마음드림 : 농마드 사이트 (www.nongmard.com) 에서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온라인 중앙일보

▶조선 임금님께 진상하던 나주 배, 덴마크 왕실도 단맛에 푹 빠졌다

▶제주도 모슬포 방어잡이 현장을 가다

▶일곱 청년이 생산하는 '장수 사과'

▶영양소 두둑한 고소한 밥도둑 ‘해누리김’

▶전국 유일의 씨 없는 감 '청도반시'

▶지리산 정기품은 산수유 '지리산과 하나되기'

▶장수(長壽)를 바라는 전통 음식 ‘무량수’

▶지리산 정기품은 산수유 '지리산과 하나되기'

▶미역·다시마 특구 부산 기장군 '청호씨앤팜'

▶영양소 두둑한 고소한 밥도둑 ‘해누리김

▶버섯의 제왕 '송이'

▶미국 FDA가 인정한 청정 해역 '통영참멸치'

▶전국 최대 축산지 홍성군의 무항생제 '홍성한우'

▶반세기 정성이 빚은 기적, 섬진강 '청매실농원'

▶전국 유일의 씨 없는 감 '청도반시'

▶지리산 정기품은 산수유 '지리산과 하나되기'

▶사람보다 소가 많은 장흥군 특산물 '정남진 한우육포'

▶좋은 조청으로 만든 '의령조청한과'

▶바다 웅담의 최대 산지 '완도전복주식회사'

▶참조기와 황토 지장수의 결합 '영광황토굴비'

▶비엔나에 수출되는 명차 '보향다원'

▶곰과 사슴이 먹던 블루베리를 토착화시킨 '베리야'

▶'먹는 모시' 떡보네 모시잎송편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