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한강대교 휘호 부탁받은 이승만 "한글 서예는 김충현"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2면

왼쪽 위부터 시계방향으로 서울 한강대교, 전북 부안 능가산 내소사 일주문, 경기도 여주 영릉(세종대왕릉) 훈민문, 서울 종로 사직단, 경복궁 영추문 현판. 일중 김충현 작품이다. [사진 일중선생기념사업회]

“전란으로 파괴된 한강대교가 1956년 복구돼 준공식을 가졌다. 서울시청 직원은 당시 보기 드문 한지를 쓰기 좋은 크기로 수십 장 가져와 제자(題字)를 부탁했다. 놀라는 내게 그는 ‘실은 이승만 대통령께 휘호를 받으려고 경무대에 이것을 준비해 갔는데 대통령께서 한글 서예는 익숙지 않으니 선생을 찾아보라 하셨습니다’라고 말했다.”

 일중 (一中) 김충현(1921∼2006)은 36세로 ‘한강대교’(1957)를 쓰던 때를 이렇게 돌아봤다. 일중은 1942년 ‘우리글씨 쓰는 법’을 펴냈고 궁체·훈민정음·용비어천가 등을 연구해 ‘한글 고체’를 창안했다. 동생인 여초(如初) 김응현(1927∼2007)과 함께 20세기 한국 서예를 이끈 형제 거목으로 꼽힌다.

 일중선생기념사업회(이사장 김재년)는 15일부터 서울 관훈동 백악미술관에서 기획전 ‘서예가 건축을 만나다’를 연다. 일중이 쓴 현판의 실물 30점과 탁본·사진 등 40여 점을 전시한다. 사업회는 이를 위해 지난 2년간 일중이 전국 각지에 쓴 현판을 전수 조사, 도록을 펴냈다. 총 183건으로 집계됐다. 김 이사장은 “현판은 서예가 대중에게 다가가는 작업인데, 옛 건물이 사라지면서 함께 없어질 수도 있는 까닭에 이번 작업을 서둘렀다”고 말했다. 현판은 글자나 그림을 새겨 문 위나 벽에 거는 널조각이다. 편액·주련·표지 등으로 세분된다. 전시를 기획한 정현숙 열화당책박물관 학예실장은 “궁궐·사찰·유적지·서원 등지의 현판은 그 건물의 얼굴로, 당대 명필들이 썼다”고 설명했다.

 현판은 건물의 역사와도 함께한다. 경기도 여주에 우암(尤菴) 송시열(1607∼89)의 사당이 있다. 정조가 ‘우암만한 큰 어른(大老)이 나라에 없다’는 비문을 지어 ‘대로사(大老祠)’가 됐다. 후에 흥선대원군이 스스로를 ‘대로’라 칭하자 사당 측은 ‘강한사’로 이름을 바꾸며 현판을 내렸다. 후에 옛 이름을 되찾으며 일중이 새 현판과 주련을 썼다.

 일중은 당시 현역 서예가로는 가장 많은 현판을 남겼다. 40년대부터 90년대까지, 반세기 넘게 붓과 벗한 일중 서풍의 변화는 현판에서도 볼 수 있다. 정 실장은 “초학자 시절 기교 없는 순박한 글씨로 시작, 가장 많은 현판을 썼던 60, 70년대엔 웅건한 서풍으로 근본을 탄탄히 했다. 절정기인 80년대 유려하고 웅강한 ‘일중풍 예서’를 창안했으며, 만년엔 비운 듯 순진한 글씨를 썼다”고 분석했다. 전시는 다음 달 25일까지. 02-734-4205.  

권근영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