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단종 몰아낸 세조 … 권력욕의 화신이었나, 왕권 강화 결단이었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06면

세조 영정

수양대군으로 더 많이 알려진 조선 7대 임금 세조. 수양(首陽)은 중국 고대사에서 충절의 상징인 백이·숙제가 굶어 죽은 수양산(首陽山)과 한자가 같다. 단종의 비극을 예견했던 걸까. 그의 이름을 수양으로 바꾼 건 부왕 세종이었다. 하지만 세조는 동생(안평대군)은 물론 어린 조카(단종)의 목숨마저 빼앗으며 기어이 왕에 올랐다. 그의 치세는 숙청과 탄압이 끊이지 않았던 철권통치로 점철됐다. 하지만 동시에 강력한 왕권을 바탕으로 국방을 튼튼히 하고 각종 법전과 역사서를 편찬하는 등 문물제도 정비에 힘쓰기도 했다. 권력을 좇은 냉혈한 왕에서 치적군주까지 양 극단의 평가를 받는 이유다. 교과서와 각종 사료, 언론이 기술한 세조에 대해 알아봤다.

세조 때 편찬을 시작해 성종 때 완성된 조선법전 『경국대전』

세조(1417~1468, 재위 1455~1468)

정변(政變)을 통해 왕세자를 거치지 않고 왕에 오른 조선 7대 임금. 한명회·권람 등과 함께 1453년(단종 1년) 계유정난을 일으켰다. 세조는 단종을 보필하던 김종서·황보인은 물론 동생 안평대군에게까지 역모 혐의를 씌워 죽이고 영의정에 올라 정권을 장악했다. 이렇게 정적을 모조리 제거한 후 1455년(단종 3년) 단종을 끌어내리고 스스로 왕에 올랐다. 단종은 17세 나이에 강원도 영월 유배지에서 사약을 받고 생을 마감한다.

 피로 새긴 왕의 길이었지만 치적군주라는 전혀 다른 평가도 받는다. 전·현직 관료에게 무분별하게 수조권(토지에 대한 조세 징수권)을 지급했던 과전법을 개혁해 현직 관료에게만 수조권을 지급하는 직전법을 실시했다. 또 호적·호패법 강화로 정확한 인구조사를 해 중앙집권적 통치체제를 정비했다. 외적 침입에 허약한 변방 방어체제를 정비하는 등 전국적으로 일원화한 국방체제를 구축했다. 여진족을 토벌해 북방을 안정시키는 한편 평안도 등으로 이주정책을 실시해 국토의 균형 발전을 도모하기도 했다. 왕권 강화를 위해 학문 기관인 집현전을 폐지하고 왕과 신하 간 학문·정책 토론의 장인 경연을 폐지했지만, 병법서·역사서·법전 등 서적 편찬과 간행에 큰 힘을 쏟기도 했다. 특히 『경제육전』 『속육전』 등 기존 법전은 물론 왕명과 조례를 한데 묶어 조선 기본 법전으로 발전시킨 『경국대전』 편찬을 주도한 일은 가장 뛰어난 업적으로 인정받는다. 『법화경』 『금강경』 등 불경을 간행해 전파하는 등 불교를 우대하기도 했다.

쿠데타로 왕위 찬탈

세조는 조선 초 통치 체제 정비라는 치적을 남겼지만 후세의 평가는 권력을 좇은 비정한 왕이라는 데 모아진다. 쿠데타를 통한 왕위 찬탈이라는 세조 정권의 정통성을 문제삼는 거다. 교과서 8종 모두 “수양대군(세조)이 정변을 일으켜 단종을 몰아내고 왕위에 올라 강력한 왕권을 행사하였다”고 기술하고 있다.

 세조의 왕위 찬탈은 효와 충을 근본 이념으로 삼는 유교국가 조선의 성리학자가 도저히 용납할 수 없는 불충행위였다. 사육신이 대표적이다. 세조 즉위 이듬해 집현전 출신 성삼문·박팽년·유성원·하위지·이개·유응부 등은 단종복위를 꾀한다. 이들은 명나라 사신을 맞는 자리에서 세조 일파를 제거하고 단종을 복위하려 했으나 거사 계획이 들통나면서 역모죄로 모두 죽임을 당한다. 이들이 바로 충절의 상징으로 알려진 사육신이다. 사육신은 모진 고문과 팔다리가 찢기는 거열형을 당하면서도 끝까지 세조를 왕으로 인정하지 않았다고 한다. 단종복위 계획에 직접 참여하진 않았지만 정계 진출을 거부하고 은거하며 단종에 대한 충절을 지킨 이도 있었다. 바로 김시습·남효온·성담수·원호·이맹전·조려 등 생육신이다.

 1457년(세조 3년)에도 세조 동생 금성대군이 또다시 단종복위를 추진했으나 역시 실패하고 금성대군 등 관련자 모두 처형당한다. 세조는 두 차례의 단종복위사건을 무자비한 탄압과 숙청으로 해결했다.

왕권강화 위한 어쩔 수 없는 선택인가

세조의 정변을 이해하려는 시각도 있다. 계유정난으로 시작된 세조의 쿠데타를 왕권과 신(臣)권의 대립으로 보는 관점이다. 김종서·황보인 등 소수 대신의 권력이 막강해지면서 신권이 어린 단종의 왕권을 위협했고, 이런 상황이 세조의 쿠데타를 불러왔다는 것이다.

 단종 즉위는 매우 복잡한 정치지형을 만들었다. 세종은 즉위 전 4년, 문종은 5년 대리청정하며 미리 정사를 경험하고 정치적 역량을 쌓을 수 있는 기회를 가졌지만 단종은 달랐다. 12세 어린 나이에 갑작스럽게 왕에 올랐다. 황보인·김종서 등 일부 대신은 섭정에 가까운 권력을 휘두르며 정사를 주관했다. 왕권 약화, 즉 신권 강화로 비춰질 수 있는 상황이었다.

강력한 왕권을 지향했던 세조(당시 수양대군)는 이런 상황을 왕실에 대한 위협으로 받아들였다. 세조는 “비대해진 신권을 바로잡고 왕실 권위를 바로 세운다”는 명분을 내세워 계유정난을 일으키고 정적 안평대군과 김종서·황보인 등을 역모로 엮어 축출한다. 흥미로운 사실은 훗날 세조의 왕위 찬탈에 대해 죽음으로 항거했던 성삼문 등 사육신도 계유정난 시기까지는 세조 손을 들어줬다는 점이다. 이들은 왕권과 신권, 어느 한쪽이 비대해지지 않고 조화를 이루는 유교적 여론정치를 지향했다. 사육신도 일부 대신의 비대해진 권한에 반발했다. 성삼문은 “안평대군 아들 이우직을 마땅히 베어야 합니다. 무릇 역적은 수종(首從)을 가리지 아니하고 그 아들까지 베는 것이 당연한 것입니다”라는 상소문을 단종에게 올리며 안평대군 측근의 탄핵을 강력하게 주장한다(단종실록 1년 11월 26일). 세조 입장에 서서 안평대군과 김종서·황보인 등을 역적으로 규정한 것이다. 하지만 세조가 단종 왕권을 노골적으로 넘보자 사육신 등은 죽음을 불사하며 세조에 대항했다.

세조의 묘 ‘광릉’

  세조는 집권 내내 신권을 견제하며 강력한 왕권을 추구했다. 미래엔은 “수양대군(세조)이 정변을 일으켜 김종서 등을 제거하고 권력을 장악하였다. 이후 단종을 쫓아내고 왕위에 오른 세조는 다시 6조 직계제를 실시하고 종친을 등용했으며, 집현전과 경연을 폐지해 언론 활동을 제한하여 왕권을 강화하였다”고 적었다.

태종과 세조를 바라보는 다른 시각

강력한 왕권을 추구했고 피의 숙청을 단행했다는 점에서 태종(이방원)과 세조는 닮았다. 하지만 둘에 대한 역사적 평가는 극명하게 다르다. 태종도 수많은 정적을 죽음으로 내몰았지만 그의 목적은 명확했다. 자신을 도왔던 개국공신은 물론 외척까지 왕권에 위협이 될 만한 정치집단이 생기는 걸 막았다. 이는 안정된 왕권으로 이어졌고 세종의 태평성대를 여는 데 큰 기여를 했다. 천재교육은 “세종은 태종이 다진 안정된 왕권을 바탕으로 모범적인 유교 정치를 실현하고자 하였다”고 태종을 긍정적으로 평가한다.

 하지만 세조에 대해선 평가가 다르다. 세조는 왕권 강화를 목표로 했지만 아이러니컬하게도 왕권에 가장 큰 위협이 된 훈구세력을 양산했다. 훈구세력은 한명회·권람 등 세조 집권을 도와 공신에 오른 사대부들이다. 이들은 세조 집권을 도우면서 막대한 토지를 소유하고 관직을 독점하며 거대한 정치집단으로 성장했다. 공신에 책봉돼 관직을 받고 후손에게도 죄를 묻지 않는 면책권 등 각종 특권을 약속받았다. 세조는 자신을 도운 측근들을 정난공신·좌익공신·적개공신 등으로 세 차례에 나눠 공신으로 정하며 그들을 견제하기는커녕 오히려 그 수를 늘려갔다. 미래엔은 “중앙 정치는 세조의 즉위 과정에서 공을 세운 훈구 세력이 장악하고 있었다. 이들은 고위 관직을 독점하였을 뿐만 아니라, 권세를 이용해 막대한 토지를 차지하고 상업 활동에도 관여해 재산을 축적하였다. 하지만 그 과정에서 각종 비리와 부정을 저질러 백성들로부터 지탄의 대상이 되었다”고 적었다.

QR코드를 찍으면 세조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언론도 세조 집권 후 훈구세력을 견제하지 못했던 점을 강력하게 비판한다. “세조 후반으로 갈수록 공신들의 권한은 더욱 강해져 재위 14년(1468) 3월에는…공신들은 관직매매까지 허용받는다. 잘못된 쿠데타의 유산은 이렇게 국가의 기본적인 공적 체제마저 무너뜨렸다.”(중앙선데이 2009년 9월 20일 ‘공신과 밀착한 세조, 왕권 위의 특권층을 남기다’)

 세조 때 형성된 훈구세력과 신진사대부 사림 간의 대립과 갈등은 이후 무오사화(1498)·갑자사화(1504)·기묘사화(1519)·을사사화(1545)를 낳으며 조선 조정을 피비린내나는 권력 투쟁의 소용돌이로 몰아 넣는다. 왕권 강화를 내세운 세조의 손에서 조선 내 정치집단 간 정쟁의 역사가 시작된 셈이다.

글=정현진 기자 자문=최미정 중동고 역사 교사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