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잠깐만요, 헌혈증 있어요 … 3% 적금 막차 타기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1면

직장인 박혜훈(25)씨는 최근 하나은행의 적금상품에 가입했다. 금리는 연 5.5%. 이런 ‘고금리’가 가능했던 건 각종 우대금리를 잘 챙긴 덕이다. 그가 가입한 ‘난 할 수 있어 적금’의 기본금리는 연 3%다. 하지만 ‘내 자신과의 약속’ 두 가지를 선택하면 1%포인트의 우대금리를 얹어준다. 어르신에게 대중교통 자리 비켜주기, 국경일에 태극기 게양하기 등이 그것이다. 여기에 박씨는 스마트폰 하나N월렛 이용, 자동이체 등으로 추가 금리(1.5%)를 더 챙겼다. 그는 “저금리 시대에 0.1%포인트라도 더 주는 상품을 찾기 위해 발품을 팔았다”며 “연말까지만 판매한다고 해 서둘러 가입했다”고 말했다.

 은행 금리의 ‘날개 없는 추락’이 이어지면서 예금자의 속앓이가 깊어지고 있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14일 기준금리를 2.5%에서 2.25%로 낮추면서 이미 낮아질 대로 낮아진 은행 예·적금 금리가 더 떨어질 전망이어서다. 현재 주요 시중은행의 1년짜리 정기예금 금리는 2%대 중반에 그친다. 일부 상품의 기본금리는 1%대까지 떨어졌다. 이자 생활자들은 물가상승률과 이자소득세를 감안하면 지금도 손에 쥐는 게 없는 상황이다.

 이런 상황에서 0.1%포인트라도 이자를 더 받기 위해선 부지런해지는 수밖에 없다. 잘 찾아보면 상대적으로 높은 금리를 주는 ‘막차’ 상품들이 남아 있다. 특히 ‘목돈 만들기’용 적금 상품들이 그렇다. 농협은행 ‘Heart 적금’은 최대 4.42%(1년)를 받을 수 있다. 기본금리(2.42%)에 사회봉사활동, 기부, 모범납세, 헌혈, 장기기증서약, 노부모 봉양, 다자녀가구와 같은 선행 실적이 있으면 각 0.3%포인트씩 최대 1.8%포인트를 얹어준다. 같은 이름의 정기예금(기본금리 2.31%)도 이러한 경력이 있으면 최대 3.01%의 금리를 적용받는다.

 우대금리를 받기 위해선 스마트폰이나 인터넷을 통한 가입도 활용해볼 만하다. 우리은행의 ‘우리 스마트폰 적금(기본금리 2.9%)’은 스마트폰 전용통장인 ‘우리 꿈 통장’에서 자동이체를 하면 0.2%포인트를 더 받는다. 외환은행 ‘매일클릭 적금(최대 3.1%)’이나 기업은행 ‘흔들어 적금(3.15%)’도 스마트폰 가입, 앱 이용 실적에 따라 우대금리를 얹어준다.

저금리 시대에는 ‘세테크’가 중요한 만큼 퇴직연금·연금저축과 같은 장기 상품들에 가입하고, 적극적인 운용에 나서는 것이 대안이 될 수 있다. 연금저축과 퇴직연금은 연 400만원까지 납입액의 12%를 연말정산 때 돌려받는다. 2016년 초 연말정산부터는 퇴직연금에 300만원을 추가로 부어도 12%를 돌려준다.

 문제는 수익률이다. 퇴직연금은 정기예금과 같은 원리금보장상품(92.6%)과 정해진 금액을 받게 설계된 확정급여형(DB·69%)이 대부분이다 보니 올 2분기 수익률이 한 곳을 제외하고는 1%가 넘지 않는다. 지난해 연간 수익률도 3~4%대에 그쳤다. 아직 은퇴 시기까지 많이 남았다면 펀드 같은 비원리금보장 상품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는 얘기다.

 김혜령 미래에셋은퇴연구소 수석연구원은 “세액공제만큼 수익률을 높이는 효과가 있는 연금저축이나 확정기여형(DC) 퇴직연금, 개인형 퇴직연금(IRP)을 적극 활용해야 한다” 고 말했다. 기업은행 PB고객부 이영아 과장은 “예·적금만 하고 있다면 금리가 높은 한정상품을 골라서 빨리 가입하고 비과세 한도가 적용되는 월납형 보험, 연금상품을 활용한 세테크에 집중해야 한다”고 말했다.

 대출자에게는 낮은 금리가 반갑다. 다만 고정금리 대출자들의 셈법은 복잡해졌다. 정부는 ‘가계부채 구조개선 촉진 방안’을 내놓으면서 내년부터 은행에서 고정금리로 주택자금을 빌려 10년 이상 나눠 갚는 사람에 대한 소득공제 혜택을 확대(한도 1500만→1800만원, 10~15년 미만 새로 포함)했다. 소득공제를 받으면 금리 5%로 1억원을 대출받을 때 실질금리가 약 0.4%포인트 떨어지는 효과가 있다. 대출받은 지 3년이 되지 않았는데 고정금리에서 변동금리 대출로 갈아타면 중도상환수수료(1~2%)도 물어야 한다. 서진섭 국민은행 여신상품부장은 “10년 이상 장기로 나눠 갚는다고 한다면 향후 금리 변동성과 세제 혜택을 고려해 고정금리가 더 유리하다”고 말했다.

박유미·심새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