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막판 변심, 노조 반발 … 세 번 시도 모두 실패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3면

우리금융 매각이 처음 시도된 것은 2010년 7월 공적자금관리위원회가 민영화 추진을 의결하면서였다. 당초 우리금융 지분 100%를 보유하고 있던 예금보험공사는 지분 공모와 몇 차례 블록세일 등을 통해 보유 지분을 100%에서 56.97%까지 낮춘 상태였다.

 1차 매각 시도 때는 우리은행을 포함한 우리금융과 계열사인 경남·광주은행을 별도로 매각하는 방식이 추진됐다. 우리금융의 경우 ‘4% 이상 지분 인수 또는 합병’, 지방은행은 ‘50%+1주 이상 지분 인수 또는 합병’이 입찰 참여 조건이었다. ‘우리금융 독자 민영화 컨소시엄’과 국내 사모펀드인 보고펀드, 미국계 사모펀드인 칼라일 등 11곳이 입찰 참가의향서(LOI)를 제출하면서 민영화는 쉽게 이뤄지는 듯했다. 하지만 유력 후보였던 하나금융이 우리금융 대신 한국외환은행 인수 쪽으로 방향을 전환한 데다 유력 후보들이 입찰에 불참하면서 1차 민영화 작업은 중단됐다.

 2차 매각 시도는 이듬해 5월 시작됐다. 이때는 우리금융을 자회사와 함께 일괄 매각하는 방식으로 바뀌었고 최저 입찰 규모도 ‘30% 이상 지분 인수 또는 합병’으로 높아졌다. 경영권 인수 의지가 있는 곳만 입찰에 참여하라는 뜻이었다. 하지만 그해 8월 예비입찰 마감 결과 MBK파트너스만 입찰 제안서를 제출한 것으로 나타나면서 유효경쟁 요건을 채우지 못해 또다시 입찰은 무산됐다.

 2012년 4월에 세 번째 매각 작업이 개시됐다. 2차 매각 때와 조건은 거의 비슷했다. 이때는 KB금융지주가 강력한 후보로 부상했다. 하지만 정치권과 국민은행 노동조합 등 사내·외의 반발에 직면해 뜻을 꺾어야 했다. 그해 7월 마감된 예비입찰에는 단 한 곳도 참여하지 않았다. 정부는 지난해 6월 네 번째 매각 작업에 돌입하면서 우리금융 일괄 매각 대신 계열별 분리 매각으로 방향을 전환했다. 이후 지방은행계열인 경남·광주은행과 우리투자증권 등 증권계열의 매각이 속속 성사됐다.

박진석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