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성근 전 민주당 상임고문이 13일 “통합 신당은 온·오프 결합의 시민참여형 정당이 돼야 2017년 정권교체를 이루고 원활하게 국정을 감당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친노로 불리는 민주당 최민희·정청래 의원이 주최한 토론회에서다. 문 전 고문은 김한길 대표가 승리한 지난해 5월 민주당 전당대회 직후 “지도부 선출 과정에 국민참여가 배제됐다”며 탈당했다. 현재는 ‘국민의 명령’ 상임위원 활동만 하고 있다.
토론회 발제자로 나선 문 전 고문은 “온·오프 결합 네트워크 정당을 만들자는 건 지난 대선 때 문재인·안철수 후보가 ‘새정치 공동선언’에서 이미 약속한 내용”이라며 “이를 신당의 당헌당규에 명시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새누리당은 온갖 관변단체와 강력한 이익공동체들의 피라미드 구조를 갖추고 있으나 진보진영은 변화를 희구하는 시민을 제도 안에 받아들이지 못하고 있다”면서다. 온·오프 결합 정당이란 오프라인의 정당 활동과 더불어 온라인 지지세력을 관리하고, 이를 위해 경우에 따라 일정한 의결권도 주는 것을 말한다. 문 전 고문은 오바마 미국 대통령 당선에 큰 역할을 한 온라인 네트워크 ‘무브온’과 당원중심주의를 표방하던 영국 노동당의 온라인 플랫폼을 지향해야 할 모델로 소개했다. 이런 맥락에서 문 전 고문은 새누리당이 연초에 제안한 ‘오픈 프라이머리 법제화’안도 수용할 것을 제안했다.
그는 지난해에도 안철수 의원 측에 온·오프 결합 정당의 필요성을 설득한 적이 있다고 한다.
하지만 이런 제안이 당장 받아들여질지는 미지수다. 김 대표부터 2012년 대표 경선 때 당원투표에선 전 지역에서 1위를 달리다 모바일투표에서 크게 밀려 이해찬 후보에게 당권을 내준 기억이 있다. 김 대표가 임명한 신당추진단 당헌당규위원회가 시급한 창당 일정을 앞두고 찬반이 첨예하게 갈리는 사안을 강령에 담으려 할지는 불투명하다.
이날 문 전 고문의 토론회 발언은 통합추진 움직임 이후 친노 인사가 창당 작업에 대해 처음 내놓은 제안이란 점에서 주목을 받았다. 다만 당분간 친노그룹이 계파 단위로 움직일 가능성은 크지 않다는 관측이 많다. 민주당 관계자는 “통합이 대세인데 창당을 전후해 어느 누구도 다른 목소리를 내기는 힘들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친노 강경파로 꼽히는 정청래 의원은 12일 밤 트위터에 “점령군처럼 행세하지 맙시다”라는 글을 올렸다. 그는 “민주당의 모든 것은 구태고 바꿔야 할 대상처럼 여기는 것은 아닌가. 선한 눈빛의 당신에게서 옹고집의 인상을 느낀다”고 적었다.
박성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