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통합신당 최대 난제 '공천 룰' … 공론조사식 배심원제 급부상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5면

민주당과 안철수 의원 이 추진하는 통합신당의 후보 공천 방식을 놓고 ‘공론조사식 배심원제’가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공론조사는 집단 또는 전문가 토론(TV토론 포함)을 보게 한 뒤 후보자에 대한 지지도를 조사하는 방식이다. 일반적인 여론조사는 후보나 정책에 대한 배경지식 없이 이뤄져 선호도 조사에 그치는 반면 공론조사는 후보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 상태에서 설문을 실시하기 때문에 정확한 조사가 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 통상의 배심원제는 조사 대상 표본이 너무 작다는 한계가 있었는데 이걸 극복하기 위해 일정 규모의 선거인단을 대상으로 공론조사를 하자는 게 ‘공론조사식 배심원제’다.

 우선 민주당의 상당수 광역단체장 예비후보들이 이 방식을 지지하고 있다. 경기도지사 선거에 출마 선언을 한 원혜영 의원은 6일 기자회견에서 “기존의 국민참여경선은 일반시민 50%, 당원 50%로 이뤄져 계파 정치로 흐를 가능성이 높았다”며 “‘국민참여경선 2.0’은 후보들이 패널 앞에서 정책을 발표하는 배심원제 또는 TV토론을 통한 공론조사 방식으로 이뤄져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원 의원은 이 같은 방식이 통합신당의 개혁성을 선명하게 하고 새누리당과 차별화할 수 있는 대안이라고 강조했다.

 민주당은 2010년 지방선거 때 ‘시민공천 배심원제’를 도입한 적이 있다. 전문가·시민단체·일반시민 1000명 내외의 배심원단 가운데 200명 이내의 배심원을 무작위로 뽑아 이들이 공천심사위가 1차적으로 압축한 후보들을 대상으로 최종 후보자를 뽑는 방식이었다. 박광태 전 광주광역시장이 이에 반발하며 3선 도전에 나섰다가 사퇴하는 등 조직세가 강한 후보들은 반대했다.

 조직 동원력이 약한 새정치연합 입장에서도 공론조사식 배심원제가 대안이 될 수 있다는 얘기가 나온다. 새정치연합은 통합 선언 전 창당 준비 과정에서도 공론조사를 통한 후보 선출을 논의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2012년 대선 당시 안철수 후보 측도 문재인 후보 측에 공론조사를 통한 단일화를 제안한 적이 있지만 문 후보 측이 배심원 구성 등에 난색을 표해 성사되지는 않았다. 공론조사 방식은 주로 민주당과 새정치연합 후보가 중첩되는 경기지사·광주광역시장 선거, 모바일 투표 등이 부작용을 낳을 가능성이 높은 도·농 복합지역 등에서 거론되고 있다.

 하지만 우려도 적지 않다. 민주당의 한 광역단체장 예비후보 측 관계자는 “말을 잘하는 후보가 유리하거나 토론 당일 돌발변수 때문에 반짝 인기가 오르는 경우가 있었다”며 “기존 시스템 하에서 조직 확보에 노력했던 후보들은 억울하게 느낄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신당추진단 관계자는 “아직 구체적인 공천 방식을 논의하는 단계는 아니다” 고 말했다.

박성우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