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한국은 '콘크리트 공화국'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5면

인천시 서구 수도권 쓰레기 매립지에는 건설폐기물을 가득 실은 15t 트럭이 뿌연 먼지를 일으키며 하루 8백여대씩 줄을 서서 들어온다.

쓰레기 종량제로 생활쓰레기는 크게 줄었지만 콘크리트 등 건설폐기물은 지난해 수도권 매립지 전체 반입 쓰레기의 53%를 차지했을 정도로 갈수록 늘고 있다.

매립지 앞 네곳의 건설폐기물 중간처리업체마다 잘게 부순 폐콘크리트 가루가 산더미처럼 쌓여 있다. ㈜삼력환경의 진재홍(陳載洪)상무는 "재활용 골재를 일정 비율 의무적으로 사용토록 해야 하는데도 건설교통부.환경부 등 부처 간 이견으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이곳의 '폐콘크리트 사태(沙汰)'는 앞으로도 계속될 전망이다.

서울시의 계획대로 올 하반기부터 청계천 고가도로와 복개 구조물을 철거하면 당장 15t 트럭 7만여대 분량의 건설폐기물이 발생하게 된다.

대부분 폐콘크리트 더미다. 게다가 내년부터는 서울 잠실.반포.서초 등 3개 지구 4만여 가구의 재건축이 예정돼 있다.

이러다 보니 한국은 세계적으로도 알아주는 '콘크리트 공화국'이 돼버렸다.

한국양회공업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 국민 1인당 시멘트 소비량은 1천1백40㎏이다. 1999년을 기준으로 2백67㎏인 세계 평균과 비교해 보면 네배가 넘는 양이다.

한국이 유독 시멘트를 많이 사용하는 것은 사회간접자본(SOC) 투자를 많이 하고 있기 때문만은 아니다. 경제개발로 SOC 건설이 한창인 중국도 4백48㎏ 정도다.

그렇다고 건축물을 튼튼하게 잘 짓기 때문도 아니다. 오히려 부실 건설이나 마구잡이 개발로 헐고 새로 짓느라 시멘트의 소비량과 폐콘크리트 발생량이 동시에 늘고 있다는 지적이다.

시민.환경단체들은 "지은 지 얼마 되지도 않은 아파트를 재건축하고 해마다 수해복구 공사가 반복되기 때문에 시멘트 소비량이 많다"고 주장하고 있다.

또 건설폐기물 재활용을 통해 모래.자갈 등 골재 부족을 해결하고 환경 훼손도 줄이자고 제안했다.

한국의 시멘트 소비량은 97년 1천3백43㎏까지 증가했다가 외환위기로 99년에는 9백59㎏까지 줄었으나 그 후 다시 왕성하게 회복하고 있다. 국가 전체로 따져도 한국의 시멘트 생산.소비량은 모두 세계 5위다.

인하대 서병하(徐炳夏.토목공학과)교수는 "우리나라는 기후변화가 매우 심하기 때문에 목재보다 콘크리트를 쓸 수밖에 없는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지난해 1인당 1천㎏ 이상의 시멘트를 소비한 국가는 브루나이.키프로스.쿠웨이트.아랍에미리트.카타르 등 10여개국으로 대부분 개발도상국이나 중동 국가들이다.

선진국의 경우 미국이 3백97㎏, 독일이 4백66㎏, 영국은 2백17㎏ 수준이다. 일본은 91년 6백97㎏을 고비로 줄어들기 시작해 2001년에는 5백39㎏이었다.

강찬수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