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관절 손상 크거나 나이 많으면 제대혈 줄기세포로 치료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07면

겨울이면 퇴행성 관절염 환자의 고통은 더욱 커진다. 근육과 혈관이 수축돼 유연성이 떨어지고, 관절액이 굳어져 통증이 심해진다. 걸음을 내디딜 때마다 무릎이 시큰거린다. 퇴행성 관절염은 관절을 보호하고 있는 연골이 점차 손상돼 관절에 염증과 통증이 생기는 질환이다. 몸을 움직이도록 반복적으로 굽히고 펴는 역할을 하는 무릎 연골에 많이 생긴다.

관절염 진행 정도 따라 치료법 다양

퇴행성 관절염은 진행 정도에 따라 다른 치료법을 적용한다. 초기에는 우선 약물치료를 한다. 관절염이 좀 더 진행되면 관절내시경 수술을 한다. 무릎 관절 부위에 초소형 카메라를 넣어 손상 부위를 직접 확인하고, 간단한 수술 기구로 이물질과 손상 부위를 즉시 제거한다. 내시경으로 보면서 치료해 정확한 진단·치료가 가능하다.

관절내시경은 원래 퇴행성 관절염을 위한 치료법은 아니다. 무릎 관절을 잇는 연골(반원상 연골)이 손상됐을 때 이를 개선하는 데 사용한다. 퇴행성 관절염 환자는 보통 반원상 연골 손상이 동반되기 때문에 관절염 초·중기에 효과적이다. 관절내시경술로 무릎 관절을 싸고 있는 막의 염증이 있는 조직이나 손상된 부분을 제거하고 다듬는다. 이 과정을 거치면 새로운 골질과 연골이 생성된다. 절개 부위가 작아 후유증이 거의 없고, 2~3일 입원 후 퇴원할 수 있다. 수술 다음날 마취가 풀린 뒤에는 바로 걸을 수 있다. 김영수병원 김도연 부원장은 “퇴행성 관절염 환자는 뼈 사이 쿠션 역할을 하는 반월상 연골이 찢어져 있는 경우가 많다”며 “이때는 관절내시경으로 손상된 조직을 다듬어주는 치료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관절연골 재생하는 제대혈 줄기세포

퇴행성 관절염이 아주 심해지면 무릎 관절이 더 이상 제 기능을 하지 못한다. 극심한 통증과 제대로 걸을 수 없다. 심해지면 결국 뼈의 관절 면 전체에 변형이 오고, 몸의 체형도 변한다.

이렇게 악화되는 것을 막기 위해 시행하는 것이 재생줄기세포 치료다. 줄기세포 치료는 연골 재생을 효과적으로 돕는다. 무릎 연골 재생에는 자가골수 줄기세포, 자가지방 줄기세포, 제대혈 줄기세포가 사용된다. 제대혈 줄기세포는 환자의 줄기세포가 아닌 신생아의 제대혈에서 얻어진 줄기세포다. 단 자가골수 줄기세포 치료는 환자 연령이 15~50세까지만 적용 대상이라는 제한이 있다. 50세가 넘어가면 효력이 떨어진다. 자가지방 줄기세포와 제대혈 줄기세포의 경우 연령 제한이 없고, 자가골수 줄기세포보다 중간엽 줄기세포를 보다 많이 채취할 수 있다. 중간엽 줄기세포는 줄기세포 종류 중 연골로 분화가 가능한 줄기세포를 말한다. 하지만 현재 식약처로부터 전문의약품으로 공식 승인된 것은 제대혈 줄기세포뿐이다.

줄기세포가 도입되기 이전에는 관절에 인위적으로 구멍을 뚫어 출혈을 일으켜 연골을 재생시키는 관절연골성형술을 시행했다. 하지만 이 방법으로 재생하는 연골은 섬유성 연골이었다. 반면 줄기세포를 통해 재생하는 연골은 무릎 관절을 구성하는 유리 연골이다. 제대혈 줄기세포 치료는 연골 재생을 위한 최적 세포를 사전에 선별해 일정한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김 부원장은 “제대혈 줄기세포를 통한 치료는 손상된 연골을 젤 형태의 줄기세포로 덮어주게 되는데, 섬유 연골이 아닌 유리 연골로 치유된다”며 “자가 줄기세포가 아니더라도 부작용이 없다”고 강조했다.

인공관절로 20년 이상 편안하게

연골뿐 아니라 뼈까지 닳고 무릎 주위의 인대가 굳으면 ‘O자형’ 무릎으로 변한다. 무릎과 허리까지 체형에 변화가 생긴다. 연골이 완전히 닳아 더 이상 재생되지 않는다. 줄기세포 치료를 해도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수술을 늦추지 말아야 하는 이유다.

퇴행성 관절염이 심해지면 인공관절을 사용한다. 최근에는 인공관절 수명이 20년까지 늘었다. 환자의 나이, 관절염의 상태, 관절 변형 정도에 따라 가장 적합한 인공관절 수술을 시행한다. 환자의 활동량에 따라 다소 다르지만 수술 환자의 90% 이상이 15~20년간 통증 없이 일상생활을 할 수 있다. 인공관절 수술 후 이틀 뒤면 걷는 데 무리가 없다.

김 부원장은 “퇴행성 관절염은 초기 증상이 뚜렷하지 않아 치료 시기를 놓치는 경우가 많다”며 “무릎 통증이 계속되면 퇴행성 관절염을 의심하고 병원을 찾아 검사를 받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글=류장훈 기자
일러스트=강일구 ilgoo@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