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LG전자, 회사-노조 손 잡고 곳곳서 나눔 활동, 사회적 책임 정착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07면

LG전자는 ‘노사의 사회적 책임’을 실천하고 있다. 이 일환으로 노조는 사원식당 음식물 쓰레기 줄이기에 나섰다. [사진 LG전자]

지난 6월 LG전자는 세계 환경의 날을 맞아 ‘사회적 책임’ 실천에 동참했다. 유엔환경계획의 캠페인 홍보를 위해 한 달간 뉴욕 타임스퀘어와 런던 피카딜리 광장의 전광판을 무상 대여해 친환경 메시지를 전달한 것. LG전자 노동조합도 올해 캠페인 주제인 식품발자국 줄이기에 발맞춰 사원식당의 잔반을 줄일 수 있는 메뉴를 마련해 음식물 쓰레기를 줄였다. 인도네시아법인은 음식물 쓰레기로 비료 만들기 캠페인을, 러시아·두바이법인은 법인 주변 환경 정화 활동에 나서는 등 해외법인 임직원들도 친환경 활동에 동참했다.

 LG전자는 2010년 노조와 회사 양측이 참석한 가운데 ‘노사의 사회적 책임(Union Social Responsibility) 헌장 선포식’을 실시했다. 이후 사회적 의제, 특히 환경 문제에 관심을 갖고 사회적 책임을 다하고 있다. LG전자는 생산공장이 바로 조합원 가족들이 함께 사는 주거 환경이기 때문에 환경 보존 활동에 관심을 갖게 됐다고 한다. 조합원 가족들의 주거환경을 보호하자는 취지에서 시작해 지역사회, 더 나아가 다른 지역사회 환경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환경보호 필요성에 공감하게 된 것이다.

 과거 한국의 노사관계의 경우 대립적 관계를 근간으로 성장하면서 정규직 조합원의 임금 인상, 근무환경 개선에만 집중돼 있었다. 하지만 최근 사회적 책임은 기업뿐 아니라 모든 사회 구성원이나 조직들이 공통적으로 추구해야 할 가치라는 공감대가 전 세계적으로 확산됨에 따라 국내에서도 인권, 환경, 공정관행, 지역사회 참여 등 노사의 활동영역이 사회적 의제로 확장되는 추세다.

 지금까지 사회적 책임이라 하면 기업의 사회공헌 활동이 먼저 떠올랐으나 최근에는 지역과 사회가 고민하는 것들을 같이 고민하고 해결하기 위해 노사가 힘을 합치는 ‘노사의 사회적 책임’이 대두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비정규직 차별이 이슈로 떠오르면서 정규직과 비정규직 차별의 해법을 노사협력을 통해 제시하는 기업들이 늘고 있다. 타타대우상용차는 비정규직 문제를 풀기 위해 2003년 노사가 비정규직의 10% 내외를 정규직으로 전환하기로 합의해 지난해까지 315명이 정규직으로 전환됐다. 가동률이 70%까지 떨어지던 때도 있었지만 노사는 공생과 상생의 원칙을 지키고자 했다. 타타대우의 노조는 비정규직 전체를 조합원으로 받아들이며 정규직화에 나섰다. 물량이 줄었던 해에도 타타대우 노조는 비정규직과 정규직을 구분하지 않고 똑같이 휴무 순서를 정해 실시하며 비정규직 차별을 없앴다. 조돈문 가톨릭대 교수는 이를 연구해 ‘정규직 노동조합과 비정규직 정규직화의 정치’라는 논문을 발표하기도 했다.

  현대오일뱅크는 2011년부터 노사공동으로 급여 1% 나누기 약정식을 갖고 임직원들이 급여의 1%씩을 모아 기부하고 있다. 양극화 해소를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공감대에서 시작된 급여 1% 나눔은 조합원, 비조합원 가릴 것 없이 임직원들이 우리 사회에 출연하기로 한 자체로 의미를 갖는다. 특히 기금을 투명하고 공정하게 운영하기 위해 노사 공동으로 재단법인을 설립해 운영하고 있다. 현대오일뱅크 관계자는 “우리 사회가 건강해지기 위해서 대기업 임직원들이 기부에 동참해 주기 바란다”고 말했다.

 이렇듯 노사가 사회적 책임을 실천하는 데 있어 중요한 것은 사회적 책임 의제에 노사가 얼마나 공감하고 협력하느냐다. 유럽 노동조합은 사회적 불평등을 축소시키고자 스스로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조직임을 보여주고 있다. 아일랜드 노총은 노사정 정책협의과정에서 임금 인상을 자제하는 대신 기업들의 사회적 책임을 강화하는 요구를 제안했다.

 일본은 2000년대 이후 비정규직이 확산되고 사회적 불평등과 기업 스캔들이 빈발하면서 기업 단위 노조로서의 배타성을 벗어나 소비자나 지역주민 관점에서 사회적 책임을 노사협의 의제에 포함시키고 참여하고 있다.

 LG전자 배상호 노조위원장은 “‘노사의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활동을 통해 진일보한 노경문화가 정착되면 근로자와 회사가 함께 윈윈하는 선순환이 이뤄진다”며 “노동조합은 조합원의 권익 신장뿐 아니라 경제·사회·환경 등 사회 전반에 걸쳐 사회구성원으로서의 책임을 다해야 할 것이다”라고 말했다.

  김승수 객원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