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NIE] 사극, 왜 역사 왜곡 논란 끊이지 않나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06면

조선 중종 시기를 배경으로 한 MBC 역사 드라마 `대장금`

최근 인기몰이 중인 TV 사극 ‘기황후’가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실존 인물인 기황후에 대한 기존의 역사적 해석을 완전히 뒤집은 파격적인 극 전개 때문입니다. 고려를 침공해 전횡을 일삼고 남편인 순제와 권력 다툼을 벌여 역사서에 악녀로 묘사된 기황후를 공녀로 끌려갔다 황녀 자리에 오른 성공스토리 주인공으로 탈바꿈시켰으니 역사 왜곡 논란이 일 만합니다. 사실 사극이 방영될 때마다 역사 왜곡 논란이 끊이지 않았습니다. 과거 ‘선덕여왕’에서는 실존 여부를 알 수 없는 미실이라는 인물을 선덕여왕보다 더 주목받는 인물로 내세웠고, ‘주몽’에서는 당시 강대국이었던 부여를 한나라 눈치나 보는 약소국으로 표현해 지적을 받았지요. 사극을 작가적 상상력으로 재창조한 창작물로만 봐야 할지, 극적 장치를 이용해 역사적 사실을 생생하게 전하는 교육적 효과를 지닌 매체로 봐야 할지 혼란스럽기만 합니다. 신문과 교과서에서는 사극의 역사 왜곡 문제를 어떻게 다루고 있는지 찾아봅시다.

생각해 볼 문제

 이순신·허준·세종대왕…. 역사책보다 TV 사극에서 더 자주 만날 수 있는 안방극장 단골손님들입니다. 거의 모든 국민이 거북선·동의보감·훈민정음에 대해 알 만큼 역사적 사실이 널리 알려질 수 있었던 건 사극의 역할이 큽니다. 최근에는 새로운 인물이 사극에 속속 등장해 역사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혀 주고 있습니다. 한류의 신기원을 열었다는 평가를 받는 드라마 ‘대장금’이 대표적인 예지요.

 ‘대장금’은 조선 중종 시대를 배경으로 합니다. 지금껏 이 시기를 다룬 드라마에서는 연산군을 주인공으로 내세워 중종 반정을 다루거나 조광조를 중심으로 기묘사화를 풀어내곤 했죠. ‘대장금’에서는 역사서에서 거의 기록을 찾아볼 수 없는 장금이라는 어의녀를 내세워 한식과 한의학의 우수성을 알리며 한국을 넘어 세계적 인기를 끌었습니다.

 이외에도 조선 숙종 시대 사극의 단골손님인 인현왕후와 장희빈 대신 숙빈 최씨를 주인공으로 등장시킨 ‘동이’나 계유정난을 다루면서 수양대군이 아닌 그의 딸을 중심에 세운 ‘공주의 남자’ 같은 작품도 등장했지요.

 같은 사실도 다른 시각에서 보면 전혀 다르게 해석될 수 있다는 점에서 새로운 주인공의 등장은 환영할 만한 일입니다. 문제는 새로 등장한 서술자를 위해 무리하고 과도한 상황 설정을 하다 엄밀한 역사적 사실까지 부정하는 일이 발생한다는 겁니다. 역사 왜곡 논란이 시작되면 드라마 제작진은 “사극은 작가의 상상력이 가미된 창작물”이라며 “드라마는 드라마로만 보고 즐겨 달라”고 말합니다.

 하지만 실존 인물과 역사적 사실을 뼈대로 만든 사극을 보며 허구라고 생각할 사람이 몇이나 될까요. 한 침대회사의 TV 광고에 익숙해진 초등학생이 학교 시험에서 ‘가구가 아닌 것을 고르라’는 문제에 전화기 대신 침대를 골랐다는 우스갯소리는 TV의 영향력에 대해 새삼 고민하게 합니다. 교과서에서는 사극의 역사 왜곡에 대해 어떤 내용을 다루고 있을까요.

역사적 사실의 재해석 어디까지 가능한지 기준 세워야

교과서 속 대안과 해결책

 중학교 역사 교과서에는 우리가 역사를 배워야 하는 이유에 대한 설명이 나와 있습니다. 인류가 걸어온 다양한 삶의 모습을 복기하고 옛사람의 경험을 오늘에 비춰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가 앞으로 어떤 방향으로 나아갈 것인지에 대한 지혜를 얻을 수 있다는 겁니다. 역사를 통해 오늘의 삶을 정확히 이해하고 이를 통해 보다 나은 미래를 약속할 수 있다는 얘기죠. 역사를 자주 거울에 비유하는 것도 오늘을 비춰 본다는 맥락이지요.

 만약 역사를 제대로 공부하지 않는다면 어떻게 될까요. 거울이 잘못됐으니 무엇을 비춰 본들 제대로 보일 리 만무합니다. 거울이 왜곡시킨 형체를 바탕으로 계획한 미래는 암울한 모습일 공산이 크지요.

 역사 공부의 주요한 텍스트는 물론 사극이 아닙니다. 전문가의 철저한 고증을 거친 역사서들이죠. 놀라운 건 이런 역사서들끼리도 역사에 대해 서로 다르게 기술한다는 점입니다. 고등학교 세계사 교과서에서는 역사가에 따른 역사 기술 방법을 구분해 놓았는데요. 오직 역사적 사실에 대해서만 기술해야 한다는 ‘객관적 역사’, 과거의 사실을 현재 속에 살아 숨쉴 수 있게 되살려야 한다는 ‘주관적 역사’, 역사란 역사가와 역사의 부단한 상호작용의 과정이라는 ‘현재와 과거의 대화’가 그것입니다.

 ‘주관적 역사’라는 관점에서 보면 역사적 사실을 새롭게 서술하는 사극은 정당성을 얻습니다. 과거의 사실 속에서 오늘날 시청자의 눈높이에 맞게 재구성해 공감을 이끌어 내는 것이니까요. 역사적 사실을 바꿔 대중의 공감을 얻었던 일이 과거에도 있었습니다. 중학교 국어 교과서에 보면 병자호란을 배경으로 한 『박씨전』이라는 고전 소설이 등장합니다. 실제 역사로서의 병자호란은 조선 인조가 청의 대군에게 밀려 남한산성 앞에서 삼전도의 굴욕을 당한 가슴 아픈 일입니다. 『박씨전』에서는 박씨 부인이라는 여성 영웅을 등장시켜 우리나라가 청나라를 무찌르고 승리했다는 내용을 담았지요. 상상 속에서라도 청나라에 복수하고자 했던 당대 민중의 소망을 반영한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문학적 상상력이라는 측면에서는 사극 속에서 역사적 사실이 변주하는 것을 허용하는 게 당연하겠지요. 하지만 고등학교 사회문화 교과서와 중학교 사회 교과서에서는 대중매체의 영향력을 설명하며 대중매체의 역할에 대해 강조합니다. 일상생활에서 많은 사람이 ‘TV에서 봤다’거나 ‘신문에서 읽었다’며 대중매체를 통해 접한 정보를 사실인 양 인정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사회현상을 이해하고 해석할 때 대중매체에 크게 의존하지요. 그만큼 대중매체에 대한 의존도와 신뢰도가 높습니다.

 사극은 역사의 중요성과 대중매체의 영향력을 한꺼번에 확인할 수 있는 특수한 영역입니다. 작가적 상상력을 통해 역사적 사실을 재해석할 수 있는 범위가 어디까지일지, 그 허용 가능한 기준을 세워 보는 건 어떨까요.

※집필=명덕외고 김영민(국어)· 최서희(국어)·한민석(사회) 교사, 청운중 유정민(기술가정) 교사

정리=박형수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