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인구 유입, 수도권 대신 중부로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2면

1962년 박정희(당시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 대통령이 ‘제1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으로 산업화에 시동을 걸면서 시작된 수도권으로의 인구유입이 50년 만에 마침표를 찍었다.

 28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수도권에서 지방으로 떠난 사람은 모두 46만8000명, 지방에서 수도권으로 옮긴 사람은 47만5000명으로 집계됐다. 수도권 총인구 2500만 명 중 출생과 사망을 제외하고 주민등록 이전으로 불어난 인구는 지난해 6900명에 그친 것이다.

 2011년 수도권에서의 순유출은 8450명, 2010년 수도권 순유입은 3만1000명. 통계청은 지난해와 2011년 2년 동안, 수치로는 무의미한 1만 명 미만의 인구이동이 있었기 때문에 수도권으로의 인구유입은 사실상 마무리됐다고 설명했다. 이재원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은 “이제 국내에서 산업화와 도시화는 완료 단계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은퇴자와 고령자들이 대도시를 떠나 농촌으로 향하는 귀농·귀촌이 활발해진 것도 수도권 인구집중을 완화한 요인으로 파악됐다. 지난해 40대 이상 연령층에서 수도권을 떠나 지방으로 향한 순유출은 3만2000명에 달했다. 중부(충청·강원) 인구는 늘었다. 2년간 6만8900명이 유입됐다.

 권역별로 보면, 영남권에선 지난해(3만5000명)를 포함해 최근 10년간 54만1000명이 다른 지역으로 빠져나갔고, 호남권에서도 같은 기간 31만9000명의 순유출을 기록한 반면 중부권에선 최근 10년간 13만7000명이 순유입됐다.

 제주도는 2010년을 고비로 떠나는 인구보다 들어오는 인구가 많아졌다. 특히 지난해엔 15세 미만 어린이·청소년과 30~40대 인구의 제주도 유입이 활발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 과장은 “자녀를 제주국제학교에 보내고 싶어 하는 학부모들의 교육열과 관련이 있어 보인다”고 말했다.

 지난해 전국적인 인구이동률(인구 100명당 이동자)은 14.9%로 74년 이후 38년 만에 가장 낮았다. 주택거래량 부진, 인구 고령화, 경제성장률 하락 등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쳤다고 통계청은 분석했다.

세종=주정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