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모아둔 돈 없어 … 늙어도 일 못 놓는 한국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8면

한국의 고령자들은 일하기 위해 노동시장에 참여하는 비율이 세계 최고 수준이고, 일자리에서 완전히 손을 떼는 나이도 가장 늦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금 등 노인 복지체계가 상대적으로 미진한 가운데 자녀 사교육비 등으로 노후 생활자금을 제대로 마련해 놓지 못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13일 내놓은 ‘고령화와 고용정책’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 고령자(65∼69세)의 2011년 고용률(인구 대비 취업자 수)은 41%로 OECD 32개국 평균(18.5%)과 비교해 2배를 넘었다. 이 같은 고용률은 아이슬란드(46.7%)에 이어 세계 둘째로, 일본(36.1%)은 물론 미국(29.9%)·캐나다(22.6%)·영국(19.6%)·독일(10.1%) 등 주요 선진국들을 크게 앞선 수치다.

 언제 일자리에서 완전히 떠나는가를 보여주는 실질은퇴연령에서도 한국은 남성 71.4세, 여성 69.9세로 멕시코(남성 71.5세, 여성 70.1세)와 함께 조사 대상 국가 중 최선두권이었다. 한국은 OECD 국가 중 실질 은퇴연령이 늦춰진 유일한 나라로 나타났다. 통계 비교가 가능한 27개국 중 고령자의 실질은퇴 시점(남성 기준)이 40년 전인 1971년보다 늦춰진 곳은 한국(65→71세)이 유일했고, 일본(72→69세) 등 다른 나라들은 모두 은퇴 시점이 앞당겨졌다.

 이런 현상은 한국인이 일하던 직장에서 떠나는 퇴직 연령은 평균 53세로 세계에서 가장 낮은 편이지만, 무슨 일이든 더 해야 생계를 유지할 수 있어 노동시장에 계속 잔류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하지만 고령자에게 맞는 일자리와 교육·훈련 프로그램이 부족하다 보니 자영업에 뛰어들어 실패하는 고령자도 많다.

 OECD는 보고서에서 “한국은 고령에 앞선 50대 중년부터 재취업을 위한 체계적인 교육·훈련 프로그램을 받을 수 있도록 정부가 정책적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라고 권고했다.

OECD는 또한 “고령의 근로자들이 산업 현장에서 재해를 당하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고 있다”며 “이들의 안전에 대해 정부와 기업이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고 밝혔다.

채승기 기자

[관계기사]

▶ 엄동설한에 병원간 할머니의 '마지막 외출'
▶ 치매 실종이 90%…2036년엔 '재앙' 예고
▶ 노인 이동경로 추적 CCTV 더 설치해야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