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북 로켓 장착 마무리 바빠진 한·미·일 외교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0면

미국의 위성사진 업체 ‘지오아이’가 지난 4일 촬영한 북한 평안북도 철산군 동창리 발사장. 네모 안은 발사장에 트럭 몇 대가 주차돼 있는 모습이다. 미국 자유아시아방송(RFA)은 5일 이들 차량이 연료 주입을 위한 트럭일 가능성이 크다고 전했다. [RFA=연합뉴스]

북한의 장거리 로켓 발사가 임박한 가운데 한국과 미국·일본 등 3국의 ‘미사일 외교’가 긴박하게 전개되고 있다.

 임성남 6자회담 수석대표 겸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은 4일 오후(현지시간) 워싱턴에서 미국 측 6자회담 대표인 글린 데이비스 국무부 대북정책특별대표, 일본 측 6자회담 대표인 스기야마 신스케(杉山晋輔) 일본 외무성 아시아대양주국장과 연쇄 회담을 열었다. 한·미·일 3국 6자회담 수석대표의 ‘약식 회동’에선 발사 후 제재방안을 마련하기에 앞서 북한의 로켓 발사를 막기 위해 최대한 외교 노력을 기울이기로 의견을 모았다.

 임 본부장은 회동 뒤 기자들과 만나 “북한이 발사를 실행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외교적 노력을 극대화하자는 데 합의했다”며 “만약 북한이 실행에 옮길 경우 지난 4월 채택된 유엔 안보리 의장 성명에 따라 안보리가 조치를 취해야 한다는 점에도 의견 일치를 봤다”고 말했다. 이어 “한·미 두 나라 간 외교적 노력도 중요하지만 중국과 러시아도 이런 노력에 동참하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요약하자면 북한에 대한 제재보다 우선 발사를 막는 데 주안점을 두겠다는 의미다. 실제로 미국은 ‘뉴욕채널(한성렬 유엔 주재 북한 차석대사)’ 등을 통해 북측에 발사 계획을 철회하라는 요구를 하고 있다고 외교 소식통들은 전했다.

 특히 북한의 로켓 발사 국면에서 중국의 역할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데 한·미·일 3국이 의견을 같이했다는 후문이다. 중국은 유엔 안보리 상임이사국인 데다 북한에 대해 정치·경제적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그런 만큼 발사를 막기 위한 외교전에 중국을 참여시켜야 발사 이후 제재 국면에서도 중국의 역할을 기대할 수 있다. 임 본부장이 “중국과 러시아의 동참을 위해 최대한 노력을 강화하겠다”고 말한 게 그런 맥락이다.

 한편 평안북도 철산군 동창리 주변을 관찰해 온 한국 정보 당국은 5일 북한이 장거리 로켓을 발사대에 장착했다고 밝혔다. 한 관계자는 “3일 1단 로켓, 4일 2단 로켓에 이어 5일 오전에 3단 로켓 장착을 마무리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