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보령화력 CO2 포집장치로 연 7만 t 절감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7면

보령화력발전소에 건설 중인 50m 높이의 이산화탄소 포집 저장시설 앞에서 관계자들이 공사 상황을 살펴보며 얘기를 나누고 있다. 내년 3월 이 시설이 완공되면 하루 200t, 연간 7만t의 이산화탄소를 줄일 수 있다.

지난달 29일 오전 충남 보령시 오천면 한국중부발전㈜ 보령화력본부. 국내 최대 규모의 화력발전단지인 이곳에는 높이 150m짜리 굴뚝 7개가 줄지어 서 있었다. 굴뚝에서는 하얀 수증기가 솟구쳤다. 그 옆으로는 화학공장에서나 볼 수 있는 50m 높이의 반응탑 설치 공사가 한창이었다. 굴뚝에서 나오는 이산화탄소(CO2)를 붙잡는 포집저장장치였다. 흡수제인 아민을 이용해 CO2를 붙잡는다.

 보령화력 환경관리팀 유수명 차장은 “반응탑이 내년 3월 준공되면 하루 200t, 연간 7만t의 CO2를 줄일 수 있다”며 “연간 200만t을 포집하는 사용화 설비도 검토 중”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또 “운송·저장 기술에 대한 연구까지 끝나면 지구온난화 방지에 적지 않은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중부발전은 지난해 전체 배출량의 2.5%인 96만t의 CO2를 감축했다. 노후화된 발전설비인 보령화력 1, 2호기의 효율을 개선하는 등 다양한 노력을 진행한 결과다. 유 차장은 “CO2 감축에 애를 쓰는 건 2015년 국내에 도입되는 CO2 배출권거래제(ETS) 때문”이라며 “CO2를 많이 배출하면 돈이 더 들고, 줄이면 돈을 버는 게 ETS인 것 같다”고 말했다.

 국내 ETS 도입이 2년 앞으로 다가오면서 기업들이 분주해지고 있다. ETS는 CO2 기준으로 온실가스를 연평균 12만5000t 이상 배출하는 기업이나 2만5000t 이상 배출하는 사업장 480여 곳(2012년 기준)을 대상으로 시행된다. CO2를 배출할 수 있는 상한을 할당하고 이를 넘긴 기업은 다른 기업으로부터 배출권을 사서 채워야 하는 제도다. 배출량이 곧 돈과 직결되는 것이다.

 현대건설 역시 온실가스 감축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지난달엔 본격적인 온실가스 감축전략도 수립했다. 2018년에는 CO2 연간 배출량이 50만1533t에 이를 전망이지만 배출량을 30% 줄이기로 한 것이다. 이 회사 녹색환경팀 유민영 과장은 “건설현장 CO2 배출량의 80%를 차지하는 건설장비의 CO2 배출을 줄이기 위해 급가속·급제동·공회전을 금지했다”며 “사무실에서도 다양한 절전 캠페인을 벌이고 있다”고 말했다.

 정부가 ETS를 도입하기로 한 것은 2020년 기준으로 배출전망치(BAU) 대비 30%를 감축하겠다는 국가 감축목표 때문이다. 환경부 황석태 기후대기정책과장은 “대상 기업들의 CO2 배출량이 국내 총 배출량의 60%를 차지하기 때문에 국가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이들의 감축이 필수적”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부담증가를 우려하는 기업들도 있다. 시멘트 업계가 대표적이다. 시멘트 생산공정 가운데 석회석의 주성분인 탄산칼슘(CaCO3)을 생석회(CaO)로 만드는 과정에서 다량의 CO2가 배출된다. 에너지 절약으로 해결할 수도 없는 부분이다. 한 시멘트 업계 관계자는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데 더 투자해야 할지, 배출권을 구입해 해결해야 할지 따져보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대한상의 지속가능경영원 최광림 전략조정실장은 “업종별 특성, 향후 성장 전망 등을 반영해 배출권을 공정하게 할당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앞으로 남은 기간 동안 정부와 업계 간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진행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유승직 환경부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장은 “배출량 통계는 전문가, 담당 부처, 온실가스정보센터 등에서 3단계 검증을 거치게 된다”며 “이를 통해 기업별, 업종별로 정확한 배출량 통계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업종 특성과 형평성 문제, 시장 활성화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해 배출권을 할당할 계획이며 업종별 전문가 채용을 확대해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의 전문성도 높일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