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이후락 79호실·정보연구위 정보부 만들 때 참고 안 했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7면

1961년 중앙정보부 출범 전에도 국내에 정보기관은 있었다. 이승만 정권의 국방부 ‘79호실’과 장면 정권의 총리실 직속 ‘중앙정보연구위원회’다. 두 기관 모두 책임자가 이후락(1924~2009·사진)이었다. 이후락은 일본 항공하사관 특별 간부후보생 출신으로 해방 후 군사영어학교를 졸업, 임관했다. 79호실의 탄생은 미 중앙정보국(CIA) 한국지부 설치(1958년 봄)와 관련 있다. CIA와 정보를 교환할 우리 측 기관이 필요했다. 58년 여름 국방장관 직속기관으로 ‘중앙정보부’를 급히 조직했다. 책임자로는 주미대사관 무관 근무(55~57년) 이후 보직이 없던 이후락 준장을 앉혔다. 장교 20명과 하사관 20명으로 구성됐다. 주 업무는 미국 측으로부터 받는 방대한 자료를 정리해 국방장관에게 보고하는 것이었다. 중앙정보부 명칭은 이후락의 제안으로 ‘79호실’로 바뀐다. 이후락 자신의 군번(10079)을 따서 붙였다.

 60년 정권이 바뀌면서 79호실은 해체됐다. 새로 들어선 민주당 정권은 정보기관으로 중앙정보연구위원회를 조직했다. 국무총리실 직속 기관이었다. 이후락은 61년 1월 육군 소장으로 예편하고 이 조직의 연구실장(차관급)을 맡았다.

 몇 달 뒤 중앙정보연구위는 5·16으로 인해 해체된다. 김종필(JP)은 중앙정보부를 창설하면서 중앙정보연구위 조직을 인수하거나 참고하지 않았다. “(이후락이) 정보 경험이 있는 사람이라고 (장면 총리가) 옆에 놓고 있었지만 제대로 된 정보기능이 아니라 사적인 활동 수준이었다 ”는 게 JP의 증언이다. JP의 중앙정보부가 이후락의 중앙정보연구위를 흡수해 설립됐다는 기존의 관측과 해설은 틀렸다는 것이다.

한애란 기자 aeyani@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